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

[한국어 교원] 언어 간 간섭 현상

외국어 습득 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학습자 모국어에 있다고 볼 때, 언어간 간섭 현상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 예시를 제시하여 각 언어권 별 간섭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 a.중간 언어: 목표어를 학습하기 시작하여 완전히 학습하기 전까지의 단계의 언어로 불완전한 언어이다. 모국어와 목표어의 양상을 띄면서 각각의 규칙을 따라 변동되도록 만들어진 중간 단계이다.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 목표어의 영향을 받은 특성이 나타나는 단어들이 나타나곤 한다. ​ b.화석화: 중간 언어의 체계가 발전되지 않고 정지되어 고쳐지지 않고 계속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애플사의 휴대폰을 ‘아이폰’이라 하고, ‘아이패드’라고 영어발음을 한국어로 바꾸어 부르는데, 일본에서는..

[한국어 교원] TTT교수법과 PPP교수법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항목별로 비교ㆍ대조 설명하시오. ​ 1. TTT 모형 TTT 모형은 과제중심 모형이다. 일반적으로 과제란(task),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위해 자발적으로, 혹은 보상을 기대하고 행하는 일동의 활동을 말한다(Long). 언어 교육적인 관점에서는 과제(Communicative task)를 학습자가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형태가 아닌 의미에 중점을 두고 언어를 이해, 처리, 생산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Nunan)고 하였다. TTT 모형은 과제1(task1) – 교수(teach) – 과제2(task2)의 모형으로 이루어 져있다. 과제 전 – 과제 수행 – 과제 후 의 과정이다. ​ 2. PPP 모형 PPP 모..

[일본어] JPT/JLPT 단어 공부 : 고령 출산을 왜 丸高(マル高)라고 할까?

더보기 고령출산 : 高齢出産 일본 통계 및 의학 상으로 나이가 35세 이상의 초산인 여성의 출산을 고령 출산이라고 한다. 일본 산부인과학회에 의하면 고령 출산이라는 것은, 35세 이상에 아기를 처음 출산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1991년 이전에는 30살 이상에 첫 출산을 하는 여성이 적었기때문에 30세 이상의 초산 임산부의 출산을 고령출산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시대가 흐름에 따라 30살 이상의 첫 출산이 늘었고 WHO를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의 여성의 초산 나이가 높아졌기 때문에 1993년부터 법이 개정되어 고령출산의 나이를 35살로 높였다. 하지만 이것 또한 여성을 차별하는 것이라는 비판으로 인해 지금은 이 규정 자체가 폐지되었다. 더보기 丸高 (マル高) 의 유래 일본 산부인과학회에서는 출산 적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