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

[한국어교원]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실습 : 첫날_오리엔테이션

2019년 9월~12월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실습을 한 후기를 작성하였습니다. #직접후기 #한국어교원후기 #한국어교원실습 #한국어교원실습후기 #외국어로서의한국어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실습 #교원자격증실습 부산에 살지만 부산에는 실습이 없는 관계로 대구의 #대구대학교 로 실습을 가게 되었다. 부산에서 대구로 가야 했기 때문에 새벽 5시에 일어나서 시외버스터미널로...! 수업 일자와 학교 위치, 강의실 장소를 미리 확인하고 늦지 않도록 빨리 도착했다. 그런데 하필 이날이 태풍 온 날이라 정신없이 도착했고 첫 수업이라 긴장도 했다. 그런데 #대구대학교대명동캠퍼스가 오래된 건물이라 그런지 허름하고 심지어 닫힌 창문으로 비가 들이쳤다ㅠㅠ 오전, 오후 반으로 나뉘는데 나는 빨리하고 돌아올 생각으로 오전반 9:0..

[한국어교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특성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특성 ​ 5.18 민주화 운동 ​ 명칭: 5.18 민주화 운동은 간단하게는 ‘5.18’로도 불리며 사건이 일어난 날짜를 따서 지어 졌다. 그리고 광주항쟁, 광주학살, 광주사태, 광주 시민 항쟁, 5.18 민주화 운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정의: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 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전두환과 신 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를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 ​ 발생 배경: 박정희가 김재규에 의해 살해당하는 1979년 10월 26일의 10ㆍ26사태 이후, 민주주의를 원하는 시민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군부세력인 전두환이12ㆍ12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를 장악하였다. 그 후 신 군부의 정치 관여 ..

[한국어교원] 공주 석장리 유적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지인 공주 석장리 유적 ​ 공주의 석장리 선사 유적지는 사적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만큼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장소라는 뜻이다. 공주 석장리 유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 1) 대표적 유적지 공주 석장리 유적과 지리적 특성 ​ 충청남도 공주는 충청남도의 중앙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 넓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석장리 유적 지역은 금강 북안의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 장암리에 위치하며 대체적으로 가파른 기울기의 산간 지형으로 해발13~17M의 하안단구에 위치하고 있다. 석장리 유적이 위치한 금강 중류지역의 지질층위는 운모편암, 편마암류이며 변성암류는 낮은 지세가 특징인 경기..

[한국어교원] 학습자에게 오류는 중요한 것인가?

학습자에게 오류는 중요한가? ​ 언어 수행상 오류- 실수(mistake) 실수의 정의: 방심하여 잘못함. 또는 그로 인해 빚어진 것이라는 뜻. 외국어를 습득하기 위해 발생하는 실수의 경우 원래 알고 있는 언어체계를 학습자가 부주의하여 잘못 사용된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언어 능력 오류- 오류(error) 오류의 정의: 무엇이 그릇되거나 또는 잘못 알고 하는 일이라는 뜻. 외국어를 습득함에 있어서의 오류는 학습자가 자신이 사용한 표현이나 발화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Corder(1981)에 의하면 오류란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범하는 잘못으로 오류에는 학습자의 언어지식이 구조화되어 있다고 하였다. ​ ​ 1) 오류의 원인 ​ a) 언어 간 전이 언어 간 간섭이..

[한국어교원]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 품사의 개념 ​ ‘품사’의 개념을 검색하면 낱말을 문법적인 기능이나 형태, 뜻에 따라 몇 갈래로 나눈 것으로 나온다. 학교문법에 의하면 즉,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이다. ​ ​ 한국어의 품사 분류 ​ 한국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인 총 9가지로 볼 수 있으며, 이런 품사들을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 - 형태적 분류(form): 단어의 굴절 여부와 굴절 방식에 따른 분류이다. 형태에 따라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뉜다. ​ ㄱ. 가변어는 활용을 통해 형태가 변하는 단어 가변어에는 동사, 형용사..

[한국어교원]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1) 한국어의 피동문의 형성 ​ 능동문의 동사 어간에 접미사 또는 ‘-어지다’를 결합하여 피동문을 만들 수가 있다. 능동문은 ‘주어+목적어+타동사’ 형태를 이르며, 피동문은 주어+부사어+어근+’이,히,리,기,되’-어지다’로 형태를 이루어 사용된다. ​ ​ ▶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단형 피동문과 장형 피동문의 의미를 같은가? a. 단형 피동: 자발적인 의도를 가지고, 직접적인 힘이 가해졌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가),(다),(마) b.장형 피동: 우연적이며 간접적인 느낌이 강하다. 어떻게 하다보니 그렇게 되었다.-> (나),(라),(바) ​ →의도를 가졌는가? (가) 문이 저절로 닫혔다. (나) 문이 저절로 닫아지었다. (다) 텔레비전에서 좋아하..

[한국어교원] 효과적인 문화 교육 방법

초급 학습자에 효과적인 문화 교육의 방법. ​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이유에는 다양한 것이 있겠지만 언어를 배우고자 한다면 반드시 함께 동반되어야 하는 교육이 바로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다. a. 한국 문화 교육의 목적과 목표 ​ ㄱ. 한국어의 능통한 숙달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화 교육을 통해 한국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문화를 통해 얻게 되는 지식으로 세세한 내용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다. ​ ㄴ. 생활에 필요한 지식 습득 한국에서 생활을 하게 될 경우 더더욱 중요한 것이 문화에 대한 이해이다. 예를 들어 한국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용법과 어휘에 대해 학습이 가능하며, 식사 시 수저를 배열하는 것에 대한 지식도 배울 수 있다. 일본..

[한국어교원]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이 가운데 듣기를 가장 어렵게 하는 요소를 골라 고른 이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a. 음운 변동 b. 발화 속도 c. 동음이의어 d. 익숙하지 않은 문장 e. 선험 지식의 부족 f. 발음 g. 어휘력 부족 h. 지역 방언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a. 음운 변동 ​ 음운의 변동이란 음운의 형태가 바뀌는 현상으로,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일어난다. 일본어에는 없는 발음, 사용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발음하는 단어 때문에 이해를 못 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예를 들어‘반갑습니다’의 경우 발음은 [반갑습니다]가 있다. ​ b. 발화 속도 상황에 따라 다른 발화의 속..

[한국어교원] 선다형 문항(Multiple choice item)

선다형 문항[ multiple choice item ]의 개념. 선다형 문항이란, 질문에 대한 답지를 두 개 이상 제공하여 피험자가 정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작된 문항형태를 의미한다. 주로 4지 선다형이나 5지 선다형 문항형태가 많이 사용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답을 선택하게 하는 문항 형식이다. 학업 성취도 평가 등의 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선다형 문항[ multiple choice item ]의 특징. ​ 1. 어떻게 제작하느냐에 따라 문항 난이도가 변화된다.- 아주 쉬는 문항에서부터 매우 어려운 문항까지 답지를 어떻게 제작하느냐에 따라 문항 변별력을 높일 수 있다. ​ 2. 듣기, 읽기, 어휘 영역에 적합하다. 듣기 평가에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는 문제, 읽기 평가에서 내용의 주..

[한국어교원] 주요 교수요목 개념과 특징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시오 ​ 교수요목(敎授要目, course of study)이란 한 교과의 교육 내용을 주제별 항목으로 조직하여 열거한 것. 따라서 그 교과에 어떤 내용 항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일반적 개념으로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곤 하지만 한국에서는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 교수 요목의 종류나열과 특징 정리 ​ 결과 중심 교수요목 가장 먼저 결과 중심 교수요목이 있다. 이는 가장 오래된 교육방식이며 전통적인 방법이기도 한데, 교육할 내용을 결과를 중심으로 계획하고 설계하여 단기간의 문법교육으로 큰 효과를 낸다. 그리고 학습 내용과 특정 문법 구조에 초점을 두어 결과를 중요시한다.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지도에 초점을 두면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