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시오
교수요목(敎授要目, course of study)이란 한 교과의 교육 내용을 주제별 항목으로 조직하여 열거한 것. 따라서 그 교과에 어떤 내용 항목들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일반적 개념으로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곤 하지만 한국에서는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교수 요목의 종류나열과 특징 정리
결과 중심 교수요목
가장 먼저 결과 중심 교수요목이 있다. 이는 가장 오래된 교육방식이며 전통적인 방법이기도 한데, 교육할 내용을 결과를 중심으로 계획하고 설계하여 단기간의 문법교육으로 큰 효과를 낸다. 그리고 학습 내용과 특정 문법 구조에 초점을 두어 결과를 중요시한다.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지도에 초점을 두면서 전체를 학습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문법 중심 교수요목
문법 중심 교수요목은 전통적으로 일반 코스의 기초가 되어왔으며 문법을 기초로 배우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정확한 언어사용을 하도록 가르칠 수가 있다. 번역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에게 매우 유리한 학습법이다.
처음에는 문법을 위주로 번역을 중시하는 문법 번역 식 교수법이 있었으나, 이것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린아이가 모국어를 배우듯 교육시간에는 목표어 만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는 방식인 직접교수법이 생겨나고, 여러 시대적 상황으로 암기와 언어의 정확성, 유창성을 목표로 수업을 하는 청각 구두 식 교수법이 발전하게 되고, 이를 보완한 의사소통 식 교수법 등 다양하게 발전 되어 왔다.
상황 중심 교수요목
인간의 언어는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과 맥락, 보통 상황을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이다. 상황 중심 교수 요목은 문법 중심 교수요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운동에서 등장하게 되었다. 장점은 학습 내용을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선정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며 큰 동기부여가 된다. 수업에서는 롤 플레이 같은 게임을 통해 실제적인 의사소통을 연습하게 된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상황이 한정되고 여러 학습자 간의 난이도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들 간에 문법적 지식 격차가 나기도 한다. 일상 생활에서도 그렇듯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대화에서는 문법지식과 일치하는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교육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상황에 문법을 맞추다 보니 자연스럽지 않은 경우도 나타난다.
기능 중심 교수요목
기능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가 배우고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의미와 기능을 주된 교육 내용으로 정하고 있다. 기능 중심 교수요목은 의미 중심 교수요목, 개념 중심 교수요목으로도 불린다. 언어적 능력보다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고 있음으로 회화 코스에 적합하며 문법 보다 언어사용을 목적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단점으로는 선정 기준과 등급화가 명확하지 않아서 제안, 요청, 부탁, 거절, 의견 말하기 등의 다양한 예시를 고려하지 않으면 의사소통 과정이 어려울 수가 있다. 의사 소통 능력을 중시하다 보니 문법적 능력에 많은 격차가 발생 하기도 한다.
과정 중심 교수요목
과정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요목으로서 언어를 통해 해내야 하는 목표인 과제 중심으로 구성하여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목표를 둔 교수요목이다. 교사들에 의해 주어지는 주입식, 선언적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참여하여 절차, 주제 문제를 알아내는 과정을 중요시 하는 절차적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장점으로는 학습자들 스스로 결정하고 평가하여 상호 작용을 일으키며 다양한 교수요목을 상황에 따라 대입시킬 수가 있다. 단점은 교사와 교재가 재 역할을 못하면 원하는 교육 효과를 얻지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끝내버린다는 것이다. 학습자 스스로 참여하여 결정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절차적으로 정교한 과정의 유도가 필요하다.
과제 중심 교수요목
의미에 초점을 둔 의사소통 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으로 모든 지식과 경험을 동원하여 정보를 구하고 제공하면서 언어를 배우기 위해 하는 행동이다. 이는 외국어 교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과제와 활동을 구성하는 교수요목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교수요목 [敎授要目, course of study]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하우동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1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안용준, 『한국어교육학사전』, 도서출판 하우, 한재영외 3명(2011), 『한국어교육 용어 해설』, 신구문화사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작성자 DandS의 Mum, David nunan(2003),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Syllabus Design』, 범문사
'나의 이야기 > 한국어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원] 효과적인 문화 교육 방법 (0) | 2022.11.18 |
---|---|
[한국어교원]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 (0) | 2022.11.18 |
[한국어교원] 선다형 문항(Multiple choice item) (0) | 2022.11.18 |
[한국어 교원] 언어 간 간섭 현상 (0) | 2022.11.18 |
[한국어 교원] TTT교수법과 PPP교수법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