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어공부 6

[韓国語勉強]韓国語能力試験(TOPIK)1,2級 : 「-예요/이에요」

意味:~です。 説明:語尾に付ける。丁寧語。‛~입니다’より少し砕けた表現 読み方:イェヨ・イエヨ <活用規則> ①[パッチム有る名詞]+ 이에요 例)학생(学生)[パッチム有る]+이에요 =학생이에요 (学生です) 선생님(先生)[パッチム有る]+이에요 =선생님이에요 (先生です) 볼펜(ボールペン)[パッチム有る]+이에요 =볼펜이에요 (ボールペンです) ②[パッチム無い名詞]+ 예요 例)의사(医者)[パッチム無い]+예요=의사예요 (医者です) 가위(はさみ)[パッチム無い]+예요=가위예요 (はさみです) 뭐(何)[パッチム無い]+예요=뭐예요?(何ですか?) -내일은 7월 8일이에요 (明日は七月八日です) -그 사람은 제 친구예요 (その人は私の友達です) -크리스마스 선물이에요 (クリスマスプレゼントです) -제 취미는 발레예요 (私の趣味はバレエです)

[韓国語勉強]韓国語能力試験(TOPIK)1,2級 : 「-ㄹ/을 지(도) 모르다」

意味:~かもしれない 説明:不確実な推測を表す 読み方:을찌도 모르다、ŭl-tchi-do mo-rŭ-da、ウルチドモルダ <活用規則> ①[パッチム有る用言]の語幹+ 을 지도 모르다 例)먹다(食べる)++을 지도 모르다 =먹을 지도 모르다 (食べるかもしれない) ②[パッチム無い用言]の語幹+ ㄹ 지도 모르다 例)마시다(飲む)++ㄹ 지도 모르다 =마실 지도 모르다 (飲むかもしれない) ③[パッチムが'ㄹ'で終わる用言]の語幹+ㄹ 지도 모르다 パッチム「ㄹ」付いている場合は「ㄹ」が脱落する(ㄹ탈락活用)+ㄹ 지도 모르다 例)알다(知る・分かる)+을 지도 모르다=알 지도 모르다 ➡ㄹ은 '으'発音がなくなるので‘ㄹ’だけ残るが、‘ㄹが二つになり(알+ㄹ지도 모르다)一つは脱落する。 例文) -오늘은 비가 올 지도 모르니까 우산을 가져가세요. (今日は雨..

[한국어교원]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특성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특성 ​ 5.18 민주화 운동 ​ 명칭: 5.18 민주화 운동은 간단하게는 ‘5.18’로도 불리며 사건이 일어난 날짜를 따서 지어 졌다. 그리고 광주항쟁, 광주학살, 광주사태, 광주 시민 항쟁, 5.18 민주화 운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정의: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 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전두환과 신 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를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 ​ 발생 배경: 박정희가 김재규에 의해 살해당하는 1979년 10월 26일의 10ㆍ26사태 이후, 민주주의를 원하는 시민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군부세력인 전두환이12ㆍ12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를 장악하였다. 그 후 신 군부의 정치 관여 ..

[한국어교원] 공주 석장리 유적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지인 공주 석장리 유적 ​ 공주의 석장리 선사 유적지는 사적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만큼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장소라는 뜻이다. 공주 석장리 유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로 잡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한반도에 사람이 살았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 1) 대표적 유적지 공주 석장리 유적과 지리적 특성 ​ 충청남도 공주는 충청남도의 중앙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쳐 넓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석장리 유적 지역은 금강 북안의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 장암리에 위치하며 대체적으로 가파른 기울기의 산간 지형으로 해발13~17M의 하안단구에 위치하고 있다. 석장리 유적이 위치한 금강 중류지역의 지질층위는 운모편암, 편마암류이며 변성암류는 낮은 지세가 특징인 경기..

[한국어교원]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1) 한국어의 피동문의 형성 ​ 능동문의 동사 어간에 접미사 또는 ‘-어지다’를 결합하여 피동문을 만들 수가 있다. 능동문은 ‘주어+목적어+타동사’ 형태를 이르며, 피동문은 주어+부사어+어근+’이,히,리,기,되’-어지다’로 형태를 이루어 사용된다. ​ ​ ▶ 단형 피동과 장형 피동의 의미 차이: 단형 피동문과 장형 피동문의 의미를 같은가? a. 단형 피동: 자발적인 의도를 가지고, 직접적인 힘이 가해졌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가),(다),(마) b.장형 피동: 우연적이며 간접적인 느낌이 강하다. 어떻게 하다보니 그렇게 되었다.-> (나),(라),(바) ​ →의도를 가졌는가? (가) 문이 저절로 닫혔다. (나) 문이 저절로 닫아지었다. (다) 텔레비전에서 좋아하..

[한국어 교원] 언어 간 간섭 현상

외국어 습득 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학습자 모국어에 있다고 볼 때, 언어간 간섭 현상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 예시를 제시하여 각 언어권 별 간섭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 a.중간 언어: 목표어를 학습하기 시작하여 완전히 학습하기 전까지의 단계의 언어로 불완전한 언어이다. 모국어와 목표어의 양상을 띄면서 각각의 규칙을 따라 변동되도록 만들어진 중간 단계이다.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 목표어의 영향을 받은 특성이 나타나는 단어들이 나타나곤 한다. ​ b.화석화: 중간 언어의 체계가 발전되지 않고 정지되어 고쳐지지 않고 계속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애플사의 휴대폰을 ‘아이폰’이라 하고, ‘아이패드’라고 영어발음을 한국어로 바꾸어 부르는데, 일본에서는..

반응형